Excel에서 소수점으로 표시되는 숫자를 정수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Excel INT 함수는 정수로 내림하여 십진수의 정수 부분을 반환합니다. 음수는 더 음수가 됩니다. 예를 들어 INT(10.8)는 10을 반환하고 INT(-10.8)은 -11을 반환합니다.
1. INT함수
=INT(number)
- number - 정수를 원하는 숫자입니다.
INT 함수는 정수로 내림하여 10진수의 정수 부분을 반환합니다. INT 함수는 반올림한 후 10진수의 정수 부분을 반환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동작의 한 가지 결과는 음수가 더 음수가 된다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INT(10.8)는 10을 반환하고 INT(-10.8)은 -11을 반환합니다. 소수를 잘라 정수를 반환하려면 TRUNC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.
INT 함수는 숫자 값이어야 하는 하나의 인수인 number만 사용합니다. INT는 #VALUE 반환합니다! number가 숫자 값이 아닌 경우 오류입니다. number가 이미 정수인 경우 INT는 효과가 없습니다.

2. INT함수 예제
숫자가 양수인 경우 INT 함수는 다음으로 낮은 정수로 반올림합니다.
=INT(3.25) // returns 3
=INT(3.99) // returns 3
=INT(3.01) // returns 3
INT는 양수를 0으로 내림합니다. 음수의 경우 INT는 0에서 내림합니다.
=INT(-3.25) // returns -4
=INT(-3.99) // returns -4
=INT(-3.01) // returns -4

3. TRUNC함수
=TRUNC(number,[num_digits])
- number - 자를 숫자입니다.
- num_digits - [선택 사항] 잘림의 정밀도입니다(기본값은 0).
TRUNC 함수는 (선택적) 자릿수를 기준으로 잘린 숫자를 반환합니다. 예를 들어 TRUNC(4.9)는 4를 반환하고 TRUNC(-3.5)는 -3을 반환합니다. TRUNC 함수는 반올림을 수행하지 않으며 지정된 대로 잘립니다.
TRUNC 함수는 number와 num_digits라는 두 개의 인수를 사용합니다. Number는 자를 숫자 값입니다. num_digits 인수는 선택 사항이며 숫자를 잘라야 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. Num_digits의 기본값은 0입니다.

4. TRUNC함수 예제
기본적으로 TRUNC는 숫자의 정수 부분을 반환합니다.
=TRUNC(4.9) // returns 4
=TRUNC(-3.5) // returns -3
숫자가 잘리는 위치를 제어하려면 num_digits 값을 제공합니다.
=TRUNC(3.141593) // returns 3
=TRUNC(3.141593,0) // returns 3
=TRUNC(3.141593,1) // returns 3.1
=TRUNC(3.141593,2) // returns 3.14
=TRUNC(3.141593,3) // returns 3.141
num_digits가 음수이면 TRUNC 함수는 지정된 위치의 숫자를 0으로 바꿉니다.
=TRUNC(999.99,0) // returns 999
=TRUNC(999.99,-1) // returns 990
=TRUNC(999.99,-2) // returns 900

5. INT함수와 TRUNC함수 차이점
INT는 둘 다 숫자의 정수 부분을 반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TRUNC 함수와 유사합니다. 그러나 TRUNC는 단순히 숫자를 자르는 반면 INT는 실제로 숫자를 정수로 반올림합니다.
양수를 사용하고 TRUNC가 num_digits에 대해 기본값 0을 사용하는 경우 두 함수 모두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. 음수를 사용하면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. INT(-3.1)는 INT가 더 낮은 정수로 반올림하기 때문에 -4를 반환합니다. TRUNC(-3.1)는 -3을 반환합니다. 단순히 숫자의 정수 부분을 원하는 경우 TRUNC를 사용해야 합니다.
6. Excel의 반올림 함수
Excel은 반올림을 위한 여러 함수를 제공합니다.
- 일반적으로 반올림하려면 ROUND 함수를 사용
- 가장 가까운 배수로 반올림하려면 MROUND 함수를 사용
- 가장 가까운 지정된 위치로 반올림하려면 ROUNDDOWN 함수를 사용
- 가장 가까운 지정된 배수로 반올림하려면 FLOOR 함수를 사용
- 가장 가까운 지정된 위치로 반올림하려면 ROUNDUP 함수를 사용
- 가장 가까운 지정된 배수로 반올림하려면 CEILING 함수를 사용
- 반올림하여 정수만 반환하려면 INT 함수를 사용
- 소수 자릿수를 자르려면 TRUNC 함수를 사용
'워드프로세서 > 엑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방법 (ABS함수) (0) | 2025.05.23 |
---|---|
엑셀 10진수를 2진수, 16진수, 8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(0) | 2025.05.21 |
엑셀 복소수 표시하는 방법 (COMPLEX함수) (0) | 2025.05.20 |
엑셀 2진수를 10진수, 16진수, 8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(0) | 2025.05.19 |
엑셀 여러 배열을 가로로 합치는 방법 (HSTACK 함수) (0) | 2025.05.18 |